Ⅰ.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하는 3가지 방법 정리
1.직접배부법:
직접배부법이란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를 인정하지 않고 모든 보조부문원가를 용역제공 정도를 고려하여 제조부문에 직접 배부하는 방법이다. 이는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가 전혀 없거나 적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.
2.단계배부법:
단계배부법은 계제식 배부법이라고도 하는데 보조 부문비 배부 시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를 보조부문이 용역을 제공하는 제조보문이나 타 보조부문에 제공하는 용역의 양이 크고 작음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배부하는 방법이다. 이 방법은 부문간의 용역수수를 인정하고 있으므로 직접배부법 보다는 합리적이라 할 수 있으나 보조부문의 배부순서를 결정하여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.
3.상호배부법:
상호배부법이란 교차배부법 또는 이중배부법이라고도 하는데 먼저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 뿐만 아니라 타 보조부문에 부문 간의 용역수수를 감안하여 2차 배부[연립방정식 이용]하고, 다음으로는 각 보조부문에 배부된 금액을 용역제공 정도 고려하여 상호배부법으로 제조부문에 2차배부하는 방법이다. 이 방법은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를 완전히 고려함으로써 단계배부법보다 정확한 원가배분을 할 수 있으며, 배부순서를 잘못 정할 위험도 적은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다.
Ⅱ.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하는 3가지 방법 비교 요약
구 분 |
직접배부법 |
단계배부법 |
상호배부법 |
의의 |
보조부문원가를 다른 보조부문에는 배부한지 않고 제조부분에만 배부하는 방법 |
보조부문원가를 배부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른 보조부문과 제조부문에 배부하는 방법 |
보조부문 상호간에 용역수수관계를 완전히 인식하여 보조부문원가를 다른 보조부문과 제조부분에 배부하는 방법 |
적용상황 |
-보조부분의 용역이 전부 제조문에만 제공되는 경우 -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비율이 현저히 적은 경우 |
보조부문의 용역이 다른 보조부문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경우 |
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관계가 존재하는 경우 |
장점 |
-계산이 용이함 -계산순서를 결정할 필요가 없음 |
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관계 일부 인식 |
-보조부문원가의 정확한 배부 -배부순서를 결정할 필요가 없음 |
단점 |
제품원가계산의 정확성이 떨어짐 |
-배부순서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어려움 -배부순서를 잘못 결정하면 직접배부법 보다 더 제품원가 계산이 부정확해 일 수 있음 |
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됨 |
'강의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『2월 정기워크숍』결과보고 (0) | 2012.06.08 |
---|---|
표준원가계산-차이분석 (0) | 2012.06.07 |
종합원가계산 요약 120525 (0) | 2012.05.24 |